웹서버에 도메인 연결 방법: 네임서버 설정과 A레코드 등록까지 따라하기

도메인이란?

웹서버 구성을 마쳤다면, 이제는 우리가 만든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도메인을 연결해주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도메인이 무엇인지, 어디에서 구매할 수 있는지, 그리고 웹서버에 연결하는 방법까지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이 포스팅의 이전에 참고하면 좋은 포스팅, 도메인이란 무엇인가요? 도메인은 인터넷상의 주소라고 보면 됩니다.예를 들어, 친구의 집을 찾아갈 때 지도 좌표만 보고 찾아간다면 정말 힘들겠죠. 그래서 우리는 ‘서울특별시 중구 … Read more

phpMyAdmin 설치로 MySQL 관리 쉽게 하기

우분투에 phpMyAdmin 설치

MySQL 서버를 명령어로만 다루는 것은 불편할 수 있습니다.phpMyAdmin을 설치하면 웹 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쉽게 관리할 수 있어, 서버 운영이 훨씬 편리해집니다. 특히 웹개발을 할 때 phpMyAdmin은 데이터베이스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다룰 수 있게 도와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Ubuntu 웹서버에 phpMyAdmin을 설치하고, /mydb 경로로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phpMyAdmin 설치 방법 1. phpMyAdmin 공식 사이트에서 … Read more

우분투 웹서버 구축: PHP 7.4 설치 및 설정하기

우분투에서 php 설치하기

앞선 포스팅에서는 Ubuntu 서버에 Apache와 MySQL을 설치했습니다.이제 마지막 단계로, 워드프레스나 다양한 PHP 기반 웹사이트를 구동하기 위한 PHP 7.4 설치를 진행하겠습니다. 이 글은 APM 설치 시리즈 중 세 번째 포스팅입니다.(1) Apache 설치하기 → (2) MySQL 설치하기 → (3) PHP 설치하기 (현재 글) ** 모든 명령어는 SSH를 통해 root 권한으로 접속했을 때를 기준으로 합니다. PHP 7.4 설치 … Read more

우분투에서 MySQL 설치 및 보안 설정 방법 (2025년 기준)

우분투에서 MySQL 설치 및 보안 설정 방법 (2025년 기준)

우분투(Ubuntu) 환경에서 APM(Apache, PHP, MySQL)을 구성하는 두 번째 단계로 MySQL 설치 및 보안 설정 방법을 소개합니다. 이 포스팅은 Apache2 설치를 완료한 다음 단계로 진행되며, 실제 서버 운영을 위해 필요한 보안 설정까지 자세히 다룹니다. ** 모든 명령어는 SSH를 통해 root 권한으로 접속했을 때를 기준으로 합니다. 1. MySQL 설치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MySQL 서버를 설치합니다. 설치가 … Read more

Ubuntu 웹서버 구축: Apache2 설치와 기본 설정

Ubuntu 웹서버 구축: Apache2 설치와 기본 설정

예전에 윈도우에서 APM_SETUP이라는 프로그램이 있었던 거 기억하시나요?저도 한때 그걸로 웹 개발 공부를 하곤 했는데, 세월이 많이 지나서 그런지 이제는 그 프로그램을 찾아볼 수가 없더라고요. 그래서 이번에는 Ubuntu 환경에서 직접 APM 환경을 구성해서 웹 서버를 구축해보려고 합니다. 참고로, 제가 구축한 우분투 환경은 **Windows 11에서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을 이용해 설치한 Ubuntu입니다.하지만 Ubuntu를 주 운영체제로 직접 설치한 … Read more

WSL Ubuntu 부팅 시 SSH 자동 시작 + 바로가기 아이콘 만들기

오늘은 내 PC에서 아이콘을 클릭하여 WSL의 우분투를 실행하고, 자동으로 SSH 서버를 시작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드릴게요. 전체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WSL 우분투에서 SSH 서버 설치 및 설정 지난 시간에 우리는 우분투에 SSH를 설치하고 원격에서 접속하는 방법을 구성하였습니다.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2. WSL 실행 시 SSH 자동 실행 설정 WSL을 실행하고 “su” 명령어를 통해 root 권한을 … Read more

WSL 우분투(Ubuntu)를 외부에서 접속 가능한 서버로 설정한 과정 정리

WSL2를 외부에서 접속 가능한 서버로 설정한 과정 정리

지난 시간에 Windows PC에 구성해두신 WSL 환경을 외부에서도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하게 되었습니다. 여러 자료를 참고하며 구성한 과정을 정리해 공유해 드립니다. 1. 공유기 내부 IP 고정 외부에서 특정 PC로 안정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해당 PC의 내부 IP를 고정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2. WSL2 가상 IP → 실제 IP 포워딩 설정 WSL2는 가상 머신 환경이기 때문에 매번 부팅 … Read more

WSL 우분투(Ubuntu)에서 SSH 서버 설치 및 root 접속 설정하기

WSL에서 SSH 서버 설치 및 root 접속 설정하기

지난 시간, 서버 작업을 위해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에 우분투를 설치했습니다. 이제 원격 접속 또는 동일 PC 내에서 터미널을 통해 서버를 다루기 위해 SSH 서버를 설치하고 root 계정으로 접속 가능하게 설정해보겠습니다. 1. 터미널 열기 & root 권한 획득 WSL 우분투를 실행한 뒤, su명령어로 root 권한을 획득합니다.비밀번호를 입력하면 root로 전환됩니다. 2. SSH 서버 설치 먼저 패키지를 … Read more

WSL에서 su 명령어를 사용하려면? Root 비밀번호 설정 방법

WSL에서 su 명령어를 사용하려면? Root 비밀번호 설정 방법

Windows의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을 사용하다 보면, 기본 계정으로는 sudo 명령어를 통해 관리자 권한을 얻을 수 있지만 su 명령어를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이는 WSL 환경에서는 기본적으로 root 계정에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인데요. 오늘은 간단하게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설정해 su 명령어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방법을 소개드릴게요. 왜 su가 안 될까? WSL을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Windows의 사용자 … Read more

윈도우에서 우분투 시작하기, WSL 설치로 간편하게 끝내세요!

윈도우에서 우분투 시작하기, WSL 설치로 간편하게 끝내세요!

윈도우 환경에서도 우분투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 바로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입니다. 무겁고 복잡한 가상머신이나 듀얼 부팅 없이, 클릭 몇 번과 간단한 명령어로 우분투를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어요. 개발을 시작하거나, 우분투를 가볍게 체험해보고 싶은 분들께 딱 맞는 방법입니다. 저 역시 최근에 우분투 환경이 필요해 직접 설치해봤는데요. 놀랍도록 간편하고 빠르게 설치가 완료됐습니다. 이 글에서는 WSL을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