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L 우분투(Ubuntu)를 외부에서 접속 가능한 서버로 설정한 과정 정리
지난 시간에 Windows PC에 구성해두신 WSL 환경을 외부에서도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하게 되었습니다. 여러 자료를 참고하며 구성한 과정을 정리해 공유해 드립니다. 1. 공유기 내부 IP 고정 외부에서 특정 PC로 안정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해당 PC의 내부 … 더 읽기
지난 시간에 Windows PC에 구성해두신 WSL 환경을 외부에서도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하게 되었습니다. 여러 자료를 참고하며 구성한 과정을 정리해 공유해 드립니다. 1. 공유기 내부 IP 고정 외부에서 특정 PC로 안정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해당 PC의 내부 … 더 읽기
지난 시간, 서버 작업을 위해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에 우분투를 설치했습니다. 이제 원격 접속 또는 동일 PC 내에서 터미널을 통해 서버를 다루기 위해 SSH 서버를 설치하고 root 계정으로 접속 가능하게 설정해보겠습니다. 1. 터미널 열기 & … 더 읽기